공지사항

(유)도우누리 전주온케어 최근소식입니다.

[전북일보]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급진전

관리자 | 2014-12-05

속보= 전주시와 완주군이 추진해 온 양 지역 시내버스 단일요금제(1200원) 시행에 다시 파란불이 켜졌다. (11월 24일자 6면 보도)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3일 제315회 정례회 5차 회의를 열고 집행부에서 제출한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추진 동의안’을 심의, 원안 가결했다. 이에 따라 시의회는 오는 9일 본회의에서 해당 동의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양 시·군은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 및 노선개편(지·간선제) 시행 협약서(안)’에서 ‘전주시와 완주군은 시내버스 노선개편과 지·간선제 도입을 추진하되 2015년 말까지의 용역결과에 따라 시범운행을 통해 주민불편을 해소하고 시행한다’고 규정했다.

또 양 시·군은 환승정류장과 유개승강장·교통정보단말기 시스템 등 지·간선제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단일요금제 시행으로 인한 손실액을 월별로 시내버스 운송사업자에게 보전하기로 했다.

김윤철 도시건설위 위원장은 이날 “김승수 시장이 시장직을 걸고 노선개편과 지·간선제를 분명히 시행하겠다고 밝혔다”면서 “요금단일화와 연관된 노선개편과 지·간선제는 행정에서 책임지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단일요금제 시행 시기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미숙 의원은 “전주지역 시내버스 문제 해결의 핵심인 노선개편과 지·간선제 도입에 대해 완주군에서는 확고한 의지가 없다”면서 “노선개편 용역을 통해 6개월, 또는 1년 동안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면서 단일요금제를 시행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했다. 완주군이 협약서(안)에 노선개편 및 지·간선제 도입 시기를 명시하지 않은데 대한 문제 제기다.

앞서 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지난 10월 22일 제314회 임시회에서 해당 동의안을 심의했으나 찬반 의견이 엇갈리면서 처리를 유보했다. 전주시가 요금 단일화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버스노선 개편과 지·간선제 도입 방안에 대해 완주군이 단서를 달아 소극적인 입장을 보인 게 걸림돌이 됐다.

이후 완주군은 협약서에 지·간선제 도입 시기를 못박지 말 것을 주장, 오히려 입장 차이가 더 벌어졌지만 시의회 상임위원회가 행정의 책임을 요구하면서 대승적 결단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전주시의회 본회의에서 동의안이 가결될 경우 전주시와 완주군은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협약을 체결한 후 곧바로 단일요금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 LIST >